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국민연금 개혁, 무엇이 달라질까요?

by 그날그날들 2025. 3. 24.
반응형

국민연금 개혁, 무엇이 달라질까요?

국민연금 개혁, 무엇이 달라질까요?

 

여야가 18년 만에 합의한 국민연금 개혁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어요. 이번 개혁안은 보험료율 인상소득대체율 조정이 핵심인데요.
👉 2026년부터 시행될 이번 개혁으로 국민연금 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국민연금 개혁 전후 한눈에 보기

구분 개혁 전 개혁 후
보험료율 9% (1998년부터 유지) 13% (2026년부터 매년 0.5%P씩 인상 → 2033년 도달)
소득대체율 40% 43% (2026년부터 한 번에 상향)
연금 고갈 시점 2055년 2064년 (9년 연장)
군 복무 크레딧 6개월 인정 최대 12개월 인정
출산 크레딧 첫째 12개월, 둘째 12개월, 셋째 이후 18개월 (상한 50개월) 첫째·둘째 12개월, 셋째 이후 18개월 (상한 규정 폐지)
저소득층 보험료 지원 제한적 확대 지원 → 가입자 증가 기대

💰 더 내고 더 받는다!

✔️ 보험료율이 9% → 13%로 인상돼요.
✔️ 소득대체율이 40% → 43%로 올라서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예시)

월급 300만 원 직장인 기준

▶ 현재: 보험료 27만 원 (본인 부담 13만 5천 원) → 연금 120만 원 수령

▶ 개혁 후: 보험료 39만 원 (본인 부담 19만 5천 원) → 연금 129만 원 수령

 

🍼 군 복무·출산 크레딧 확대

✅ 군 복무 크레딧: 6개월 → 최대 12개월 인정
✅ 출산 크레딧: 첫째·둘째 12개월, 셋째 이후 18개월 인정
✅ 기존 상한 50개월 폐지 → 다자녀 부모 혜택 증가

 

📉 저소득층 보험료 지원 확대

✅ 저소득층 지역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이 확대돼요.
✅ 경제적 부담 완화 → 연금 사각지대 감소 기대

 

🚀 앞으로의 과제는?

👉 이번 개혁으로 기금 고갈 시점이 9년 늦춰졌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요.

  • 청년층과 미래 세대의 부담 증가
  • 자동 조정 장치 도입 여부
  • 연금 구조 개혁 필요성

🔎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에서 추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에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