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민연금 개혁, 무엇이 달라질까요?
여야가 18년 만에 합의한 국민연금 개혁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어요. 이번 개혁안은 보험료율 인상과 소득대체율 조정이 핵심인데요.
👉 2026년부터 시행될 이번 개혁으로 국민연금 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국민연금 개혁 전후 한눈에 보기
구분 | 개혁 전 | 개혁 후 |
보험료율 | 9% (1998년부터 유지) | 13% (2026년부터 매년 0.5%P씩 인상 → 2033년 도달) |
소득대체율 | 40% | 43% (2026년부터 한 번에 상향) |
연금 고갈 시점 | 2055년 | 2064년 (9년 연장) |
군 복무 크레딧 | 6개월 인정 | 최대 12개월 인정 |
출산 크레딧 | 첫째 12개월, 둘째 12개월, 셋째 이후 18개월 (상한 50개월) | 첫째·둘째 12개월, 셋째 이후 18개월 (상한 규정 폐지) |
저소득층 보험료 지원 | 제한적 | 확대 지원 → 가입자 증가 기대 |
💰 더 내고 더 받는다!
✔️ 보험료율이 9% → 13%로 인상돼요.
✔️ 소득대체율이 40% → 43%로 올라서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어요.
예시)
월급 300만 원 직장인 기준
▶ 현재: 보험료 27만 원 (본인 부담 13만 5천 원) → 연금 120만 원 수령
▶ 개혁 후: 보험료 39만 원 (본인 부담 19만 5천 원) → 연금 129만 원 수령
🍼 군 복무·출산 크레딧 확대
✅ 군 복무 크레딧: 6개월 → 최대 12개월 인정
✅ 출산 크레딧: 첫째·둘째 12개월, 셋째 이후 18개월 인정
✅ 기존 상한 50개월 폐지 → 다자녀 부모 혜택 증가
📉 저소득층 보험료 지원 확대
✅ 저소득층 지역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이 확대돼요.
✅ 경제적 부담 완화 → 연금 사각지대 감소 기대
🚀 앞으로의 과제는?
👉 이번 개혁으로 기금 고갈 시점이 9년 늦춰졌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요.
- 청년층과 미래 세대의 부담 증가
- 자동 조정 장치 도입 여부
- 연금 구조 개혁 필요성
🔎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에서 추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에요.
반응형
'생활상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패스 이용안내 및 지역별 추가 혜택 (0) | 2025.04.03 |
---|---|
스마트산림재난 앱으로 산림을 지켜요! (0) | 2025.03.27 |
에어컨 무료 사전점검 총정리! 여름 대비 필수 체크사항 안내 (0) | 2025.03.19 |
K-패스 환급금 완벽 정리! 혜택과 지급 일정 한눈에 (0) | 2025.03.18 |
메가박스 강남에서 즐기는 특별한 낮잠 이벤트! (0) | 2025.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