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전·월세 집 구하는 법, 실속 있게, 안전하게!

by 그날그날들 2025. 2. 11.
반응형

전·월세 집 구하는 법, 실속 있게, 안전하게!

전·월세 집 구하는 법

 

새해와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자취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시기죠. 하지만 집을 구하는 과정은 신중한 판단이 필요해요. 전월세 집을 구할 때 꼭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봤어요!

 

1️⃣ 집 구하기 전 체크리스트

예산 설정

  • 월세와 보증금 범위를 확정하고, 관리비·이사 비용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지역 및 조건 설정

  • 직장·학교와의 거리, 교통편을 고려해야 합니다.
  • 집 크기, 층수, 주변 환경 등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2️⃣ 본격적인 집 구하기

언제부터 알아봐야 할까?

  • 전세: 최소 1달 전부터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월세: 이사 2~3주 전에 검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대학가나 역세권은 미리 준비해야 좋은 매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

피해야 할 집 유형

  • 월세나 보증금이 지나치게 저렴한 경우, 숨겨진 하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반지하는 채광·환기 부족과 습기 문제로 불편할 수 있습니다.
  • 옥탑방은 여름철 더위와 겨울철 추위에 취약합니다

 

3️⃣ 방문 시 체크할 사항

채광·환기·수압

  • 채광이 충분한지, 창문을 열어 환기가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
  • 세면대, 싱크대, 샤워기 수압을 테스트해 봅니다.

방음·안전

  • 윗집과 옆집 소음이 심하지 않은지 체크합니다.
  • 현관문 잠금장치, CCTV, 복도 조명 상태를 확인합니다.

해충·편의시설

  • 바퀴벌레 흔적이 있는지, 방충망이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점검합니다.
  • 편의점, 마트, 병원, 식당 등 생활 편의시설이 가까운지 확인합니다.

 

4️⃣ 보증금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

주의해야 할 집 유형

  • 등기부등본에 ‘근린생활시설’로 등록된 경우, 불법 개조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전세가율 80% 이상인 경우, ‘깡통 전세’ 위험이 높습니다.
  • 집주인이 전입신고를 막으려는 경우, 보증금 반환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하기

  • HUG(주택도시보증공사), HF(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합니다.
  • 보증금의 0.02~0.208% 수준의 보험료로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한 매물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