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에어컨 잘못 쓰면 '냉방비 폭탄' 생활 속 요금 절약을 위한 꿀팁

by 그날그날들 2023. 5. 29.
반응형

에어컨 잘못 쓰면 '냉방비 폭탄' 생활 속 요금 절약을 위한 꿀팁

에어컨 잘못 쓰면 '냉방비 폭탄'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에어컨을 처음 켤 때는 에어컨의 종류와 상관없이 '강하게, 저온으로' 트는 게 제일 효율적입니다.  

 

온도가 떨어진 뒤에는, 정속형의 경우 시원해졌다 싶으면 껐다가 다시 온도가 올라갔을 때 켜는 게 좋고, 인버터형은 시원해졌다면 희망 온도를 올려서 놔두는 게 전기 절약에 낫습니다. 

 

정속형은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에어컨을 세게 틀든 약하게 틀든 같은 속도로 돌아갑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아졌다면 잠시 껐다가 켜는 게 낫습니다. 

 

인버터형은 껐다가 다시 켜면서 에너지를 쓰는 것보다 천천히 계속 돌아가게 하는 게 에너지를 훨씬 아끼는 길입니다.

 

버터형, 정속형 에어컨은 외관으로 큰 차이 없음

1. 에어컨 종류 

 1) 인버터형

  • 목표 온도에 다다르면 차가운 기온 유지 정도로만 작동
  •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전력 소모가 줄어듦 (절전효과)
  •  본체 구입 가격이 비싼 편
  • 사용 전기세는 적은 편(평수 클수록)

 2) 정속형

  • 목표 온도에 다다르면 냉각을 멈춤
  • 계속해서 같은 전력을 소비하는 에어컨
  • 본체 가격이 저렴한 편
  • 인버터형 대비 전기세가 많을 수도 

2. 에어컨 종류구분법

 1) 인버터형

  • 에어컨 내 'INVERTER' 표시 확인(없을 수도 있음)
  • 에너지 효율 등급 1~3등급 확인
  • 냉방 능력이 정격/중간/최소/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 2011년 이전 생산된 에어컨은 인버터형이 절대 아님

* 예외가 있을 수 있으니 꼼꼼하게 알아보기

 

 2) 정속형

  • 2011년 이전 생산된 에어컨은 정속형임
  • 에너지 효율 등급이 5등급임
  • 냉방 능력 구분이 따로 없음
  • 정속형 에어컨은 냉매: R-22(구냉매)

* 인버터형, 정속형 에어컨은 외관으로 큰 차이 없음 

 

6평형 이하는 정속형이나 인버터형이나 크게 차이가 없음

3. 에어컨 종류별 절약법

 1) 인버터형

  • 목표 온도에서 장기간 켜두는 것이 전기세 절감에 좋음
  • 껐다 켰다 하는 것이 오히려  더 전기세 많이 나옴
  • 덥다고 끄고 키는 것을 반복하지 말고, 적당한 온도에서 계속 틀고 있는 것이 훨씬 이득(최대 35% 절감)

 2) 정속형

  • 2시간 간격으로 틀고 끄는 것이 계속 사용하는 것보다 전기세가 절감이 됨 (최대 70%)
  • 처음에 강하게 틀어 온도를 확 낮추기
  • 온도가 낮아지면 에어컨을 끄는 게 좋음 

* 집의 구조나 평수, 사용주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4. 결론

 1) 인버터형이 좋은 경우

  • 하루에 4시간 이상 에어컨을 가동할 때
  • 집이 상대적으로 덥고 큰 평수일 경우

 2) 정속형이 좋은 경우 

  • 하루에 4시간 이하로 에어컨을 가동할 때
  • 집이 상대적으로 작고 시원하며 가끔 에어컨을 트는 경우

* 6평형 이하는 정속형이나 인버터형이나 크게 차이가 없음 

 

1 kWh/ 줄여서 얼마나 아낄 수 있을까

내용 가구당 에너지 절감 효과 
에어컨 설정 온도 1도 올리기 0.41kWh/일
사용하지 않는 조명 끄기 0.36kWh/일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 플러그 뽑기 0.32kWh/일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 사용하기 1.08kWh/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