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에서 하는 유용한 서비스
보건소는 주로 지역 사회에서 건강과 예방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다음은 보건소에서 제공되는 일반적인 유용한 서비스 목록입니다
🚬금연클리닉
- 금연교육 및 금연상담, 니코틴 의존도 측정,
- 클리닉 등록 후 결심일로부터 6개월간 9차 상담서비스 운영
- 6개월 서비스 이후 추가 6개월 추후관리 실시
- 금연(니코틴) 보조제 제공, 최초 등록 시 기준 개비 이상 흡연하거나, 니코틴의존도 검사 결과에 따라 본인이 원할 경우 제공 가능 (니코틴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사탕)
- 흡연량 또는 니코틴의존도 검사 결과에 따라 니코틴 보조제를 1인당 연간 12주분 이내에서 지급(1회에 최대 21일분 가능)
🏃🏻♀️건강 운동교실
- 바르게 걷기, 비만 탈출, 체조, 요가, 필라테스 등 지역 보건소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무료로 운영한다.
- 프로그램 내용 및 신청 시기, 참여 조건은 각 지역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무료 심리상담
- 자살 위기 상담,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상담 및 지지
- 정신건강 정보 및 정신의료기관 등 안내
- 응급 대응 체계 구축
🛌🏻물리치료
- 약 2천 원 정도 내면 진료+물리치료를 받을 수 있다. (핫팩, 견인치료, 신경자극치료, 재활운동 등 )
- 지역보건소에 전화료 예약한 뒤, 의료보험증과 신분증을 들고 방문 후 진료+운동처방받기
🦷구강보건
- 간단한 발치, 어린이 유치 발치, 구강 진료 및 상담(일반 환자 1,100원, 수급자 / 65세 이상 무료)
- 치과 과잉진료가 걱정된다면 보건소에서 검진을 받은 뒤 치과에서 치료받는 것이 좋음
🤰🏻임산부 등록 및 관리
🔸임산부 등록
- 임산부 등록, 표준모자보건수첩 지원
- 임신, 출산 양육에 관한 정보와 정부의 출산지원제도 등 문자 안내
- 지역 내 여성결혼이민자 가족 대상 관리
- 임신 전후 엽산제 지원(최대 3개월분), 임신 5개월부터 철분제 지원
🔸철분제 의약품의 경우 보건소 방문 신청 가능
- 산전/후 우울증 진단 및 상담, 산모 교육 등 우울증 예방 관리
🔸고위험 임산부 특별관리
- 지원대상 : 20세 미만/ 35세 이상의 임신부, 조산/사산/거대아를 출산한 경력이 있는 임신부, 유전질환 등 가족력이 있는 임신부, 고혈압, 당뇨병, 갑상선질환, 심장병, 신장병, 자가면역질환 등 질환자, 저체중이거나 비만한 임산부, 산전검사 이상 소견이 있는 임신부
- 35세 이상 여성 및 고혈압 등 질환이 있는 여성은 임신 전 질환치료 등 관리
- 고위험 임산부의료비 지원사업 정보 안내
🔸산후관리
- 임산부 및 영유아를 위한 지원사업 안내 : 미숙아 등 의료비 지원, 선천성대사이상검사 및 특수조제분유 지원, 선천성, 난청 조기검진 등 모자보건사업 안내, 산모 신생아 도우미 지원사업 등,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사업 안내
- 분만 후 1주 내 전화 등을 이용하여 건강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분만 4주 이내 전화 또는 방문상담을 실시하여 산모 및 영유아의 건강관리
- 모유수유 클리닉 운영 : 산후 방문 시 모유수유의 필요성, 권장시기, 수유법 등 교육
💊임산부 영양플러스
- 영양위험요인이 있는(빈혈, 저체중, 저신장, 성장부진, 영양섭취불량 등 한 가지 이상의 영양 위험요인 보유자) 임산·출산부, 영유아, 미숙아, 다태아(쌍둥이) 에게 영양보충식품 제공
- 야채, 계란 우유, 분유, 엽산 등을 매달 제공하며, 중위소득 80% 이상 가구이면 신청 가능
※ 보건소가 제공하는 구체적인 서비스는 해당 보건소의 웹사이트나 현지 보건소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활상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15일부터 달라지는 비대면 진료 (0) | 2023.12.06 |
---|---|
서울시 '양육친화주택' 정보... 한 건물에 어린이집·병원·학원 (1) | 2023.12.01 |
'서울사랑상품권' 최대 30만 원 지급! (2) | 2023.11.29 |
더 좋아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0) | 2023.11.27 |
이모티콘보다 싼 보험, 카톡으로 선물하기 (0) | 2023.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