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2024년 달라지는 정부 지원 제도

by 그날그날들 2023. 11. 16.
반응형

2024년 달라지는 정부 지원 제도

2024년엔 이렇게 달라집니다.

청년편

생활지원

구분 대중교통 요금 할인 K-PASS
(월20회 초과 합승시,7월 도입)
기술자격시험 응시료 기초·차상위
국가장학금
공동주택
분양 임대
'24년 청년 30% 할인
(일반 20%, 저소득층 53%)
응시료 50% 할인
(최대 3회/연)
전액지원6.7만호5.7만호
'23년 알뜰교통카드(~24.06) 신규 700만 원 ~전액지원 5.3만호5.2만호

 
자립기반

구분자립수당
(18세이후
보호종료 청년)
NEET 청년
플랫폼
첨단산업 훈련지원빈일자리
취업 장려금
(조선, 물류 등)
특성화대학'
아카데미
한미첨단분야
청년교류
'24년50만 원/ 월(5년간)10개소반도체·이차전지
2,450명
300명최대 200만 원
(6개월)
'23년40만 원/월(5년간)신규반도체 920명신규신규

 
군인

구분 초급간부
관사·간부 숙소복무장려금 
지원액 인상 대상확인
노후시설 전량개선건립장교부사관
'24년4,2만개1.9만개1,200만 원1,000만 원대학졸업
학사장교 포함
'23년1.4만개1.7만개900만 원750만원대학재학
학사·학군단

 

구분병사
봉급사회진출 지원금복무환경
'24년 125만 원/월40만 원얼음정수기 및 플리스형스웨터(전 장병) 지급
'23년 100만 원/월30만 원신규

 
 

가족편

일-육아병행 

구분육아휴직 기간 연장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시)
맞돌봄 특례지원 확대
(영아가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시)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원 확대
(중소기업 근로자)
'24년 최대 18개월최대 450만 원/6개월10일
'23년 최대 12개월최대 300만 원/3개월5일
구분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업무 분담 지원금(육아기 단축근로자 동료)
'24년 12세 이하, 최대 36개월.
주 10시간 내 100% 급여 지원
업무분담 시 
월 20만 원 지원
'23년 8세 이하, 최대 24개월, 
주 5시간 내 100% 급여 지원
신규

 
양육비 경감 

구분둘째 이상 자녀 출산시
첫만남이용권 지원금액
0~1세 자녀 양육 가구 부모급여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소득요건
0세1세
'24년 300만 원100만 원/월50만 원/월폐지
'23년 200만 원70만 원/월35만원 /월중위180%

 
주거안정

구분출산가구 저리 융자지원 소득요건 대폭 완화(1.3억원 이하)출산가구 특별공금
주택구전세자금
'24년 주택가액 9억 이하, 5억 한도보증금 5억 이하, 3억 한도분양 특별공급,
임대 우선배정 신설
'23년 주택가액 6억이하, 4억 한도보증금 4억 이하, 3억 한도신규

 
난임가구

구분가임력 검진(사전검진)냉동난자 이용 보조생식술 지원난임휴가(중소기업 근로자)
'24년 검진비 5~10만 원 지원회당 100만 원(최대 2회)유급 2일
'23년 자비신규무급

 
 

사회적 약자편

저소득층

구분 생계급여주거급여
최대 급여액
(4인가구 기준)
지원대상
(중위소득)
최대 급여액
(서울, 4인가구 기준)
지원대상
(중위소득)
'24년 월 183.4만 원
(+21.3만 원, 13.2% ▲)
32% 이하
(+3.9만가구, 신규지원)
52.7만 원
(+1.7만 원)
48%이하
(+2만 가구 신규 지원)
'23년 월 162만 원30% 이하월 51.0만 원47%이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