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정보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가장 안전하지만 가장 사고가 많은 집

by 그날그날들 2023. 9. 4.
반응형

[어린이 안전사고]가장 안전하지만 가장 사고가 많은 집

 

가장 안전하지만 가장 사고가 많은 집

어린이 안전사고의 50% 이상이 집안에서 벌어집니다. 특히 10세 미만의 경우 집에서 다치는 일이 많습니다.

2022년 소비자위해 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어린이(만0세~14세) 안전사고는 21,462건으로 전체 안전사고 중 27.5%를 차지했습니다.

 

📢 2022년 어린이 안전사고 현황 

2022년 어린이 안전사고 21,642건 중 단위: 건,(%)
주택 14,219건(65.7%)
도로 및 인도 4,151건(19.2%)
교육시설 1,127건(5.2%)
여가문화 및 놀이시설 938건(4.3%)
스포츠· 레저시설  641건(3.0%)
숙박 및 음식점 566건(2.6%)

 

<출처:한국소비자원>

가정안전사고 예방 체크리스트

🚨가정안전사고 예방 체크리스트

  • 뜨거운 다리미, 아이가 손대지 못하는 곳에 두셨나요?
  • 베란다나 창가에 아이들이 딛고 올라갈 물건은 없나요?
  • 뾰족한 모서리에 보호쿠션 붙였나요?
  • 커튼 줄, 블라인드 줄은 짧게 묶어 두었나요?
  • 방문 틈에 손 끼이지 않게 도어쿠션 설치했나요?

📢가정안전사고 예방 한 줄 꿀팁!

베란다 창문을 열고 닫거나, 서랍장을 열고 닫는 것, 칼이나 가위 같은 위험한 물건이나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아이들에게 이야기하며 주의를 주세요.

영아를 재울 때는 엎드려서 재우시면 안 돼요. 돌연사 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잡이 든 후에도 수시로 살펴봐주세요

가능하다면 바닥재를 문지방과 동일한 높이로 하여 아이들이 문지방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해요.

아이들뿐 아니라 가족의 안전을 위해 화장실 바닥이 미끄러운지 확인해 주세요. 필요하다면 미끄럼 방지 스티커나 쿠션패드를 설치하고, 욕실 문 앞의 러그 사용을 자제해 주세요. 

화장품은 되도록 화장대 위에 올려두지 말고 서랍장에 보관해보세요. 특히 아세톤 보관에 유의하시고 안전캡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시면 좋아요. 

입으로 마시거나 삼키는 사고도 빈번합니다. 쓰지 않는 락스 등 위험한 생활화학제품은 아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고, 단추 모양의 수은 전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덮개에 테이프 붙이기 등을 생활화해 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