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을 잃어버렸을 때 첫 번째로 할 일
1. 신분증 분실신고
- 주민등록증은 정부24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운전면허증은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신고
- 신분증 사진만 있어도 비대면으로 핸드폰 개통, 통장 개설 등을 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신분증은 분실신고 전에 도용되면 카드 도용보다 훨씬 복잡해지니 제일 먼저 신분증부터 분실신고한다.
2. 카드 분실신고
- 카드사 어플 도는 카드사 대표번호로 연락해서 분실신고하기(모든 카드 일괄신고도 가능)
- 카드 분실신고를 하면 분실기간에 부정 사용한 금액은 보상받을 수 있음(단, 뒷면 서명 필수!!)
- 부정 사용 시 경찰에 신고하면 CCTV조회 후 대부분 추적되지만 그래도 주의해야 함
3. 명의도용방지서비스 가입
- 핸드폰, 인터넷 등 각종 통신서비스에 가입 또는 명의변경 시 문자로 알려주는 무료 서비스
- 직접 개통이 아니더라도 도용한 신분증으로 명의 변경 후 대포폰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명의도용방지서비스에 가입한다.
- 엠세이퍼 홈페이지[www.msafer.or.kr]에서 가입현황 조회& 신규가입 사전차단 해놓기
4. 개인정보노출 등록하기
- 신분증 분실자의 금융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금융회사에서 분실 정보를 공유하는 무료 서비스
- 신청 방법 : 금융감독원 어플 → 파인 → 소비자보호 →개인정보노출 등록
- 신규 계좌 개설 등 일부 금융거래가 제한되고, 재발급 또는 지갑 찾은 후에는 언제든지 해제 가능
🚨분실물 찾는 방법
🚎버스
-두고 내리자마다 바로 생각나면 다음 배차 버스 타고 기사님께 연락을 부탁드리기 (기사님끼리 연락가능)
- 해당 버스회사의 차고지 번호로 연락해서 버스번호 이야기하고 분실물 습득 여부 확인하기
- 차고지는 7일 후 경찰서로 물품을 넘기는데, 그럴 땐 www.lost112에서 찾아보기
🚇지하철
- 하차 칸 번호, 하차 시간 등을 기억한다면 분실역사 안에 있는 지하철 분실물센터 방문하기
- 지하철 분실물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회수 후 연락을 줌
- 만약 찾지 못했다면 대중교통 통합분실물센터 홈페이지에서 물건이 올라와 있는지 확인하기
🚕택시
- 1644-1188에 전화해서 3번 →2번 누르면 카드로 결제한 택시 기사님 연락처를 받을 수 있음
- 현금으로 결제했다면 taxi.or.kr에서 유실물 센터 → 지역별 택시 분실물 안내 확인하기
- 택시어플을 이용했다면 어플 내의 [이용기록] 확인해서 택시 정보를 찾아 고객센터 연락하기
'생활상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G 저가 요금제 및 중저가 단말기 등 핸드폰 요금 통신사 정책 요약 (0) | 2024.01.02 |
---|---|
도로 안전을 위한 장치, 시선유도봉, 표지병, 볼라드 알아보기 (1) | 2023.12.26 |
SH서울주택도시공사 보증금지원형 장기안심주택 (2) | 2023.12.22 |
무료 공익보험 우체국 '대한민국 엄마보험' (0) | 2023.12.20 |
내년부터 운전면허 시험 때 자율주행차 안전교육받는다. (0) | 2023.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