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활상식·정보392 퇴직연금,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퇴직급여(퇴직금)를 회사가 아닌 금융회사(퇴직연금사업자)에 맡기고 기업 또는 근로자의 지시에 따라 운용하여 근로자 퇴직 시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회사가 도산하는 등의 문제가 생겨도 근로자는 금융회사로부터 퇴직급여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퇴직연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B형(확정 급여형) ▷ 근로자가 받을 급여의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퇴직연금제도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연금 재원을 적립하여 운용하고, 근로자는 퇴직할 때 정해진 금액을 수령하는 유형이에요. 이때 지급하는 금액은 퇴직연금 운용 성과와 관계없이 퇴직 직전 3개월 평균 급여에 근속연수를 곱하여 계산해요... 2023. 1. 19.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자료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지난 15일부터 개통됐다. 근로자들은 간소화서비스에 접속하면, 각종 영수증과 공제자료를 한 번에 조회하고 내려받을 수 있다. 하지만, 간소화서비스에서 자료를 받았다고 해서 당장 연말정산 서류를 작성해서 제출해서는 안 된다. 기관마다 국세청에 자료를 제출하는 날짜가 다를 수 있고, 일부 누락된 자료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15일부터 간소화서비스가 개통은 됐지만, 기관들의 서류제출 최종 마감일은 1월 20일이. 따라서 이날까지 기다렸다가 서류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때에도 제출되지 않는 자료가 있으면 근로자가 직접 지출내용을 체크해서 기관에 자료를 요청해야 한다. 2022년 귀속 연말정산 서비스 일정 ※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에서 조회되지 않거나 누락될 가능성이 있는.. 2023. 1. 18. 2023년 실비보험 등 확 바뀌는 각종 보험제도 총정리 2023년 실비보험 등 확 바뀌는 각종 보험제도 총정리 1. 실비보험 (실손의료보험) ● 2023년부터는 실손의료보험료가 평균 8.9% 인상된다. (4세대 실손보험은 동결) - 평균적으로 1세대 6%, 2세대 9%, 3세대 14% 인상될 예정이다(갱신 주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 - 갱신 주기가 3~5년인 실손보험에 가입했다면 올해는 최대 50%까지도 오를 수 있다. ● 2023년 1월 1일부터 개인·단체실손 중복 가입자는 직접 개인실손보험 뿐만 아니라 단체실손보험 중지 신청도 가능하다. - 회사에서 단체실손보험에 가입했다면 중지 후 잔여기간에 관한 보험료도 환급받을 수 있다. - 개인 실손보험을 중지 후 재개한다면 중지 당시 가입했던 상품과 재개시점 팔고 있는 실손보험 상품 중 선택할 수 있다. 2. 자.. 2023. 1. 16.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금리 종류와 개념 정리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금리 종류와 개념 정리 단리이자 vs 복리이자 ■ 계산방법에 따라 단리이자와 복리이자로 단리이자: 처음 빌리거나 빌려준 원금에 대해서만 기간에 이자율을 곱하여 이자 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 은행의 1년에서 3년 만기의 정기예금 이자나 정기적금 이자 계산에 주로 쓰인다. 복리이자: 원금에 대한 이자뿐만 아니라 이자에 대한 이자도 함께 계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 월복리: 원금을 월 단위로 재계산 ■ 예금·적금 가입 시 체크리스트 ① 먼저 금리와 가입 기간을 확인한다. ▶ 금리가 높아도 가입 기간이 짦으면 그만큼 줄게 된다. ② 비과세 여부 및 단리이자 또는 복리이자 확인하기 ③ 복리인 경우, 재투자기간 월 단위인지 연 단위인지 확인하기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 변동성의 차이 고정금리.. 2023. 1. 13. 이전 1 ··· 76 77 78 79 80 81 82 ··· 98 다음 반응형